반응형

문신 15

최천택

최천택(崔天澤, ?~?) 고려 후기의 문신. [설명] 1349년(충정왕 1) 8월, 삼사좌사(三司左使)에 제수되었다. 1350년(충정왕 2) 5월, 지도첨의사(知都僉議事)에 제수되었다. 1351년(공민왕 즉위년) 첨의참리(僉議參理)에 제수되었다가 공민왕 즉위 후 다시 삼사좌사에 제수되었다. 1352년 10월, 평리(評理)에 제수되었다. 1353년 3월, 삼사우사(三司右使)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유탁(柳濯)과 함께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원나라에 다녀왔다.1354년(공민왕 3) 2월, 다시 삼사우사에 제수되었다가 12월, 찬성사(贊成事)로 승진하였다. [참고자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중세사인물 2025.06.15

호진경

호진경(胡晉卿, 1107∼1160) 고려 중기의 문신. 본관 : 토산(兎山) [가족사항] 조부 : 검교신호위상장군(檢校神虎衛上將軍) 행 중랑장(行中郞將) 호종적(胡從迪) 부 : 시군기소감(試軍器少監) 지다방사(知茶房事) 호인영(胡仁穎) 외조부 : 검교신호위대장군(檢校神虎衛大將軍) 행 산원(行散員) 김선영(金善英) 장인 : 합문지후(閤門祗候) 황보 정(皇甫靖) 사위 : 호부시랑(戶部侍郞) 유광수(柳光壽), 위위주부동정(衛尉注簿同正) 정공습(鄭公襲) 아들 : 호신수(胡愼修), 호신사(胡愼思)※ 슬하에 3남 3녀가 있고 상기 내용 외 누락된 아들, 딸은 호진경 사망 당시 어려서 묘지명에도 적지 않았다. [설명] 1107년(예종 2) 검교신호위상장군 행 중랑장을 지낸 호종적의 1남 7녀 중 외아들로 태..

중세사인물 2025.06.12

정충경

정충경(鄭忠敬, ?∼1443)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 : 해주 [가족사항] 고조부 : 전법정랑(典法正郞) 정숙(鄭肅) [해주정씨 시조] 증조부 : 증(贈) 정헌대부(正憲大夫) 이조판서(吏曹判書) 정언(鄭琂) 조부 : 증 의정부(議政府) 찬성사(贊成事) 정윤규(鄭允珪) 부 : 숭정대부(崇政大夫)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 집현전대제학 겸 판중군도총제부사(集賢殿大提學 兼判中軍都摠制府事) 증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 정도공(貞度公) 정역(鄭易) 모 : 정숙부인(貞淑夫人) 안동권씨(安東權氏) 외조부 : 정순대부(正順大夫) 선무장군(宣武將軍) 제군만호(諸軍萬戶) 겸 판종부시사(判宗簿寺事) 권사종(權嗣宗) [명나라 영락제의 후궁 현비 권씨의 조부] 동생 : 가선대부(嘉善大..

근세사인물 2025.06.10

이응장

이응장(李應璋, 1121∼1177) 고려 중기의 대문벌 귀족·문신 본관 : 인천(경원/인주) 최종 관직 : 대중대부(大中大夫) 검교예빈경(檢校禮賓卿) 어사중승(御史中丞) 지첨사부사(知詹事府事) [가족사항] 고조부 : 증 수태사(守太師) 중서령(中書令) 추성좌운보사공신(推誠佐運保社功臣)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검교대사(檢校大師) 수대부(守大傅) 삼중태광(三重太匡) 문하시중(門下侍中) 판상서이부(判尙書吏部) 삼사사(三司事) 상주국(上柱國) 감수국사(監修國史) 장화공(章和公) 이자연(李子淵) [고려 문종의 장인] 증조부 : 대중태부(大中太夫) 수태부(守太傅) 겸(兼) 문하시중(門下侍中) 상주국(上柱國) 정헌공(貞憲公) 이정(李頲) [고려 선종의 장인] 조부 : 상서병부낭중(尙書兵部郞中) 증 좌복야..

중세사인물 2025.05.30

한창수

한창수(韓昌壽, 1365∼1440)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 : 안변(청주한씨 예빈윤공계) 초명 : 한장수(韓長壽)다른 이름 : 한창수(韓昌守) 시호 : 양정(良靖) [가족사항] 고조부 : 예빈윤(禮賓尹) 한연(韓連) [청주한씨 예빈윤공계 시조]증조부 : 증 순성적덕좌명보리공신(純誠積德佐命輔理功臣) 숭정대부(崇政大夫) 문하시랑찬성사 동판도평의사사사(同判都評議使司事) 겸 판호조사(判戶曹事) 안원군(安原君) 한유(韓裕) 조부 : 증 적선육경동덕찬화익조공신(積善毓慶同德贊化翊祚功臣) 특진보국숭록대부(特進輔國崇祿大夫) 문하좌정승(門下左政丞) 판도평의사사사(判都評議使司事) 겸 판이조사(判吏曹事) 안천부원군 한규인(韓珪仁) 부 : 한경 모 :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 평산신씨(平山申氏) 외조부 : 증 병의육덕보조공..

근세사인물 2025.05.27

김약온

김약온(金若溫, 1059∼1140) 고려 중기의 대문벌 귀족·문신. 본관 : 광산(光山) 초명 : 김의문(金義文)자 : 유승(柔勝)시호 : 사정(思靖) [가족사항] 고조부 : 삼중대광(三重大匡)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김준(金峻)증조부 : 상서좌복야 한림학사(翰林學士) 평장사 문정공(文貞公) 김책(金策)조부 : 수사도(守司徒)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김정준(金廷俊) [이자겸의 외조부]부 : 수태보(守太保) 문하시중(門下侍中) 감수국사(監修國史) 문안공(文安公) 김양감(金良鑑)고모 : 통의국대부인(通義國大夫人) 김씨 [이자겸의 모친]고모부 : 호부낭중(戶部郎中) 경원백(慶源伯) 경덕공(景德公) 이호(李顥) [이자연의 6남이자 이자겸의 부친 / 고려 순종의 장인]모 : 증 서해군대부인(西海郡大夫人) ..

중세사인물 2025.05.18

양빈(양윤)

양빈(楊贇 또는 양윤, ?~?) 고려 공민왕조의 문신·공신. [설명]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紅巾賊)의 침입으로 개경이 함락되고 공민왕은 파주·이천·음성·충주·조령을 거쳐 안동까지 피난을 갔다. 그는 전(前) 전객령(典客令)으로서 이를 호종하였다. 1363년 호종한 공로가 인정되어 신축호종일등공신(辛丑扈從一等功臣)에 서훈되었다.[참고자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중세사인물 2025.05.16

황자후

황자후(黃子厚, 1362∼1440) 조선 초기의 문신.회덕황씨 혜의공파 시조. 본관 : 회덕 자 : 선양(善養), 노직(魯直)호 : 송암(松巖) 시호 : 혜의(惠懿) [가족사항] 증조부 : 가선대부(嘉善大夫) 호부전서(戶部典書) 황윤보(黃允寶) [회덕황씨의 시조]조부 : 증(贈) 호조참의(戶曹參議) 황연기(黃衍記)백부 : 통정대부(通政大夫) 호조참의 황정(黃精), 황입(黃粒), 황종(黃粽)부 : 증 자헌대부 이조판서 겸 보문각대제학 황수(黃粹)모 : 증 정부인(貞夫人) 남양홍씨외조부 : 참지정사(叅知政事) 홍복규(洪復圭)장인 : 판도판서(判圖判書) 한천동(韓天童)부인 : 한양군부인(漢陽郡夫人) 청주한씨아들 : 봉헌대부(奉憲大夫) 회천군(懷川君) 양도공(良悼公) 황유(黃裕) [태종의 부마 / 숙안옹주(淑安..

근세사인물 2025.05.15

유원도

유원도(劉元度, ?~?) 고려 의종조의 문신. [설명] 1158년(의종 12) 8월, 태사감후(太史監候 : 고려조 태사국(太史局)의 종9품직)로 있으면서 왕에게 백주(白州 : 황해 배천) 토산(兎山)의 반월강(半月岡)은 국가가 중흥할 땅이므로, 만약 이곳에 궁궐을 지으면 7년 안에 북방의 오랑캐를 정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아뢰었다. 이에 의종은 평장사 최윤의(崔允儀)를 보내 그곳의 풍수를 살피게 하고, 최윤의가 돌아와 그 지역의 형세가 산이 조회하듯 늘어서 있고 강물도 순조로우니 궁궐을 세울만하다 보고하자 이곳에 별궁인 중흥궁(重興宮, 또는 中興闕, 重興殿)을 창건하였다. [참고 자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중세사인물 2025.05.12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