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근세사인물 25

한혜

한혜(韓惠, 1403∼1431)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 청주 호 : 송재(松齋) [가족사항] 고조부 : 선력좌리공신(宣力佐理功臣)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도첨의우정승(都僉議右政丞)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사숙공(思肅公) 한악(韓渥) 증조부 : 삼중대광보조공신(三重大匡補祚功臣) 호부상서(戶部尙書) 청성군(淸城君) 평간공(平簡公) 한공의(韓公義) 조부 : 수충찬화공신(輸忠贊化功臣) 광정대부(匡靖大夫) 판후덕부사(判厚德府事) 우문관대제학(右文館大提學)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 상호군(上護軍) 청성군(淸城君) 문경공(文敬公) 한수(韓修) 백부 : 가선대부(嘉善大夫) 한성부윤(漢城府尹) 한상환(韓尙桓), 증(贈) 좌의정(左議政) 문열공(文烈公) 한상질(韓尙質) [한명회의 조부] 부 : 추충익..

근세사인물 2025.05.08

손여성

손여성(孫汝誠, ?~1578) 조선 중기의 문신·효자. 본관 : 밀양(국자진사공파 소윤공계) 자 : 극일(克一) 호 : 용담(龍潭) [가족사항] 고조부 : 호군(護軍) 손계조(孫繼祖)증조부 : 이조정랑(吏曹正郞) 손위(孫渭) 조부 : 손수창(孫秀昌) 부 : 증(贈) 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 겸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 손형(孫蘅) 모 : 숙부인(淑夫人) 충주박씨(忠州朴氏) 외조부 : 참봉(參奉) 박서(朴墅) 숙부 : 동부참봉(東部參奉) 손전(孫荃), 손무(孫茂) 부인 : 숙부인(淑夫人) 남양홍씨(南陽洪氏 : 홍형노(洪亨老)의 딸), 수직정경부인(壽職貞敬夫人) 평강채씨(平康蔡氏 : 채계흥(蔡繼興)의 딸) 동생 : 증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조참의(吏曹參議) 손여해(孫汝諧) 아들 : 통덕랑(通德郞)..

근세사인물 2025.05.03

권언

권언(權躽, 1421∼1467) 조선 전기의 무신·공신. 본관 : 안동(추밀공파) 시호 : 양정(襄靖) [가족사항] 고조부 : 검교의정부좌정승(檢校議政府左政丞)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정간공(靖簡公) 권희(權僖)증조부 : 추충익대좌명공신(推忠翊戴佐命功臣) 숭정대부(崇政大夫) 의정부찬성사(議政府贊成事) 집현전대제학(集賢殿大提學) 지경연춘추관사(知經筵春秋館事) 세자이사(世子貳師) 길창군(吉昌君) 문충공(文忠公) 권근(權近)조부 :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 권천(權踐)백부 :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 호군(護軍) 권첩(權睫)부 : 증 숭정대부(崇政大夫) 의정부좌찬성(議政府左贊成) 겸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길창군 권첨(權瞻)숙부 :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 이조참의(吏曹參議) 권미(權眉), 충좌위호군(忠..

근세사인물 2025.04.30

등곤

등곤(藤昆, ?~1406) 조선 초 항왜 출신의 무관. 본명 : 곤시라(昆時羅) [설명] 본래 왜구의 우두머리인 나가온(羅可溫)의 휘하에 있던 왜인이다. 1397년(태조 6) 1월, 최초에 나가온 일당이 경남 울주포(蔚州浦)에 와서 투항했으며, 이에 나가온의 아들 도시로(都時老)와 함께 계림부윤 유양(柳亮)의 볼모로 보내졌으나 유양이 병으로 나오지 않아 지울주사(知蔚州事) 이은(李殷)이 식량을 주어 후히 대접하고 이 사실을 조정에 보고하였다. 항왜들의 처후를 두고 오랫동안 의견이 분분해 결정을 못하고 있었는데 조선군이 바다와 육지를 통해 왜구를 괴멸한다는 소문을 믿고 도리어 이은을 비롯 몇몇 관료들을 납치해 대마도로 돌아갔다. 2월, 조선 정부의 노력으로 이은 등을 돌려보냈으며 태조로부터 부사정(副司正)..

근세사인물 2025.04.17

양자검

양자검(梁子儉, ?~?) 조선 중기의 내시(환관)·공신. [설명] 1604년(선조 37) 조일전쟁(임진왜란) 당시 서울에서부터 의주까지 어가를 시종한 관계로 호성공신(扈聖功臣) 3등에 책록되고, 충근정량호성공신(忠勤貞亮扈聖功臣)의 작호가 내려졌으며, 품계와 관작이 한 자급 초전되고 반당 4인, 노비 7구, 구사 2명, 전지 60결, 은자 5냥, 내구마 1필을 하사받았다. [참고자료]  『선조실록(宣祖實錄)』

근세사인물 2025.04.06
반응형
LIST